로고

유신재

유신재

소속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AI요약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유신재 교수님의 최신 프로필 정보를 찾고 계십니까? 본 문서는 유신재 교수님의 현재 소속과 직위 등 기본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여, 교수님에 대한 초기 이해를 돕습니다. 물리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계시는 유신재 교수님의 학력, 경력, 주요 연구 분야, 발표 논문 및 특허 등 상세 정보는 현재 업데이트 준비 중에 있습니다. Kotech Hub를 통해 교수님의 깊이 있는 전문성과 연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유신재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유신재
직책조교수
이메일-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충남대학교
부서 학과물리학과
사무실 번호0428216539
연구실응용플라즈마물리실험실
연구실 홈페이지http://apple.cnu.ac.kr/
홈페이지-

경력정보

회사명충남대학교
재직기간재직 중
담당업무2014 - 현재 :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 - 부교수
회사명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재직기간-
담당업무2007 - 2014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우대연구원 2013~)
회사명포항공대
재직기간-
담당업무2006 - 2007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포스닥
회사명카이스트
재직기간-
담당업무2005 - 2006 : 카이스트 물리학과 포스닥

중요 키워드

#물리학과#연구#교수#유신재#충남대학교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응용 플라즈마 물리, 플라즈마 진단 및 제어 세부 분야: 플라즈마 전자/이온 운동, 진단 센서 개발, 초고진공 저밀도 플라즈마, 플라즈마 기반 공정 시뮬레이션, 나노입자 합성, FDC(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대표 연구 내용] 유신재 교수는 저/고압 플라즈마 내 전자 및 이온의 운동 특성 규명을 중심으로 한 기초-응용 융합 플라즈마 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Cut-off probe, Langmuir probe, LIF, Thomson scattering 등 첨단 진단 기술을 활용한 플라즈마 파라미터 측정 및 해석을 통해, 정밀한 플라즈마 공정 제어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PIC, MCC-IED, CFD 등의 수치 시뮬레이션 기법과 실험적 접근을 병행하여 대면적·고밀도·초저밀도 플라즈마 소스 개발, 나노입자 부유 및 합성, 반도체 식각 및 박막 증착(ALE, PECVD) 등의 산업 응용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FDC(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및 다양한 플라즈마 센서(VIP, MOLE probe 등)의 개발과 최적화도 수행하며, 고신뢰성 반도체 공정 기술 확보를 위한 다학제적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학력

학력 사항학사 : 충남대학교 물리학과 석사 : 카이스트 물리학과 박사 : 카이스트 물리학과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