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방철
정방철
소속
충남대학교 (전자공학과)
AI요약
아주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정방철 교수님은 6G 무선통신 및 무선 IoT 통신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가입니다. 교수님은 KAIST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IEEE Vehicular Technology Magazine 시니어 에디터, IEEE CCNC 총괄 의장 등을 역임하며 국제 학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11년 IEEE 젊은 연구자상, 2019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최우수 논문상 등 다수의 권위 있는 수상 경력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최근에는 6G 멀티채널 IoT 네트워크, O-RAN 기반 NTN 아키텍처 등 혁신적인 연구 논문들을 IEEE 유수 저널에 활발히 게재하며 미래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정방철 |
직책 | 교수 |
이메일 | bcjung@ajou.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충남대학교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사무실 번호 | 82312192366 |
연구실 | Wireless Communications Lab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icl.ajou.ac.kr/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bangchuljung |
경력정보
회사명 | KAIST 정보기술 융합 연구원 |
재직기간 | 2009.01.01 ~ 2010.02.28 |
담당업무 | 선임 연구원/연구 교수 |
회사명 | 충남대학교 및 경상국립대학교 |
재직기간 | 2010.03.01 ~ 2025.02.28 |
담당업무 | 교수진 |
회사명 | 아주대학교 |
재직기간 | 2025.03.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교수 |
중요 키워드
#머신러닝#다중 안테나#신호 처리#유체 안테나#6G 통신#NTN#인공지능#전파 자원 관리#정보 이론#O-RAN#무선 통신#스펙트럼 공유#무선 IoT#무선 측위#AI-RAN
대외활동
활동 내용 | [학회/위원회 활동] - IEEE Vehicular Technology Magazine 선임 편집장 (현재) - IEEE Open Journal of the Communication Society 부편집장 (현재) - IEEE Vehicular Technology Magazine 부편집장 (2020-2022) - IEEE CCNC 2023 TPC 의장 - IEEE CCNC 2025 총괄 의장 - IEICE Transactions on Fundamentals of Electronics, Communications, and Computer Sciences 부편집장 (2018-2022) [수상 내역] - 2011년 제5회 IEEE Communication Society Asia-Pacific Outstanding Young Researcher Award - 2015년 KICS 해동 젊은 과학자상 - 2019년 제29회 한국과총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AI-RAN 논문)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6G 무선 통신, 무선 IoT 통신, 통계적 신호 처리, 정보 이론, 무선 측위, 간섭 관리, 레이더 신호 처리, 스펙트럼 공유, 다중 안테나, 다중 접속 기술, 무선 자원 관리, 머신러닝, GNSS 수신기 신호 처리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6G 시대의 폭증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과 IoT 기기 연결성 문제를 해결하고, 고도화된 무선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데 집중합니다. 특히,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통신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을 선도합니다. 기술 우위: 본 연구실은 6G 무선 통신, 무선 IoT 통신, 통계적 신호 처리, 머신러닝 기반 무선 통신 등 다양한 핵심 기술 분야에서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 성과로는 6G 다중 채널 IoT 네트워크를 위한 기회주의적 비직교 랜덤 접속 기술, O-RAN 기반 비지상 네트워크(NTN) 아키텍처 최적화, 유체 안테나 시스템 분석 프레임워크, 심층 강화 학습 기반 LEO 위성 네트워크 핸드오버 전략 등이 있습니다. 이들 연구는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등 유수의 국제 저널에 게재되며 기술적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사업 가치: 개발된 기술은 미래 6G 이동통신 시스템, 지능형 IoT 솔루션, 위성 통신 시스템, 레이더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높은 사업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AI-RAN(Artificial Intelligence and Radio Access Networks)과 같은 인공지능 통합 무선 통신 기술은 네트워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가능하게 하여, 통신 산업의 혁신을 이끌 것입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컴퓨터 공학 박사 (2008)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컴퓨터 공학 석사 (2004) 아주대학교 전자공학 학사 (2002) |
보유 기술 로딩 중...